2) 거짓기억연구 내용
거짓기억 연구는 인간의 기억 작용과 관련된 현상을 이해하고 조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우리의 기억은 종종 과거의 경험을 기반으로 형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기억은 왜곡될 수 있습니다. 거짓기억 연구는 이러한 기억 왜곡이 어떻게 발생하는지와 왜 발생하는지를 탐구합니다.
거짓기억은 종종 잘못된 정보에 노출되어 발생합니다.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일련의 사건을 관찰하거나 경험한 후 잘못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잘못된 정보는 기억을 왜곡하고 잘못된 기억을 형성하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에게 "사과"라는 단어를 듣고 나중에 "배"라는 단어가 제시되면, 참가자들은 실제로는 "배"가 아닌 "사과"라는 단어를 기억할 수 있습니다.
거짓기억 연구는 또한 상상력과 사건의 혼동으로 인한 거짓기억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상상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사건을 상상하고 구성할 수 있습니다.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상상된 사건에 대한 설명을 듣고, 그 후에 그것을 실제로 경험한 것처럼 기억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의 심리적인 요인도 거짓기억에 영향을 줍니다. 개인의 성격, 신념, 동기, 감정 상태 등은 거짓된 기억의 형성과 왜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의 성격 특성이 거짓된 기억을 형성하거나 왜곡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거짓기억 연구자들은 왜 거짓된 기억이 형성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억의 작용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밝힐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연구는 법률, 심리학, 신경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거짓된 기억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 실제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거짓기억연구의 기본 개념
▶ 기억 왜곡 (Memory distortion)
기억 왜곡은 실제 사건의 기억이 왜곡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외부 요인이나 내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왜곡된 기억은 개인의 경험, 상황, 자아의식, 제공된 정보 등에 따라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에 일어났던 가족 여행에서 해변에서 물고기를 잡는 기억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나중에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그 여행에는 가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그 기억이 왜곡되었음을 알게 됩니다. 혹은 그 가족 여행에서 일어났던 다른 사건을 잘못해서 그 기억에 포함시킨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 거짓기억 (False memory)
거짓기억은 개인이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사건에 대한 기억을 형성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잘못된 정보나 상상력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거짓기억은 개인이 그것을 진짜로 경험했다고 믿을 정도로 현실적이고 확실한 기억으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에 긴급 상황에서 잃어버린 산책할 때의 펫 개를 잊었다고 믿었다가, 나중에 가족 구성원이 펫 개가 없었음을 언급하면서 그 기억이 거짓된 기억임을 알게 됩니다. 이는 상상력이나 다른 경험에서 얻은 요소들이 혼동되어 거짓된 기억을 형성한 것일 수 있습니다.
▶ 기억 재구성 (Memory reconstruction)
기억 재구성은 과거의 기억을 다시 구성하거나 재조립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억의 일부 세부사항이 누락되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개인은 과거 사건을 다시 구성하면서 자신의 경험, 기대, 관련 정보 등을 참고하여 기억을 재구성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건에서 토끼와 거북이가 경주를 한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중에 그 사건을 회상할 때, 토끼가 먼저 출발한 것처럼 재구성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잘못된 정보 효과 (Misinformation effect)
잘못된 정보 효과는 개인이 정확한 기억 대신 잘못된 정보에 노출되었을 때, 그 잘못된 정보가 기억을 왜곡하고 변형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실험에서 참가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받은 후, 실제로 경험하지 않았던 사건에 대한 기억을 잘못 형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에게 도난 사건에 관한 질문을 한 후, 몇 시간 뒤에 다른 그룹에게 동일한 질문을 하지만 도난이 아닌 사건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주는 경우, 두 번째 그룹은 잘못된 정보를 받은 사건을 경험한 것으로 잘못 기억할 수 있습니다.
▶ 사건 허구 (Event fabrication)
사건 허구는 개인이 실제로는 경험하지 않은 사건에 대한 거짓된 기억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상상력이나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은 자신이 실제로 경험한 것처럼 사건을 기억할 수 있으며, 이는 자기와 다른 사람들을 혼동시킬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자신이 UFO를 목격한 기억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사실은 그들이 뉴스나 영화에서 UFO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상상력을 발휘하여 사건을 허구한 것일 수 있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실제로는 경험하지 않았던 UFO 목격 사건에 대한 거짓된 기억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4) 현대사회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
▶ 사법 및 법률 분야에서의 영향
거짓기억 연구는 잘못된 기억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이는 재판에서 증거로서의 목격자 진술이나 기억의 신뢰성에 대한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잘못된 기억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이해는 무고한 사람들이 잘못된 기억에 의해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정확하고 공정한 법률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심리치료 및 재활에서의 영향
거짓기억 연구는 정신 건강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를 가진 개인들은 종종 왜곡된 기억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거짓기억 연구는 외부 요인이나 내부 요인이 어떻게 이러한 왜곡을 유발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심리치료 및 재활 접근법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 교육 및 정보 전달에서의 영향
거짓기억 연구는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들은 종종 틀린 정보를 받거나 오해하거나 잘못된 기억에 의존하여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거짓기억 연구를 통해 개인들은 자신의 기억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와 왜 왜곡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디어 소비자, 교사, 부모 등은 비판적 사고와 정보 검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틀린 정보에 속지 않고 정확한 지식을 습득하고 전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영향은 거짓기억 연구를 통해 우리의 기억 현상을 이해하고, 심리학, 심리치료, 법률,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개선된 접근법과 정책 수립에 기여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29) 리온 페스팅거 (Leon Festinger)(2) (1) | 2023.06.13 |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29) 리온 페스팅거 (Leon Festinger)(1) (0) | 2023.06.12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28) 엘리자베스 로프투스 (Elizabeth Loftus)(1) (0) | 2023.06.11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27) 데이비드 맥클렐랜드 (David McClelland)(2) (0) | 2023.06.10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27) 데이비드 맥클렐랜드(David McClelland)(1)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