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실험 연구
커트 레빈은 실험을 통해 개인의 행동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그의 실험은 일상적인 상황을 모사하여 실험실 내에서 현실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1) 소수자 영향력 실험
커트 레빈은 소수자 영향력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여 소수자가 다수자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습니다. 그의 대표적인 실험은 "자유선언 실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3명의 연구 참가자가 모여 의사 결정을 내리는 상황을 조성했습니다. 2명은 실험자이고 1명은 연구자와 협력자로 배정되었습니다. 실험자 2명은 약속시간을 정하는 문제에서 차례로 의견을 제시하고, 협력자는 실험자 한 명과 동일한 의견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나 이 의견이 다수의 의견과 다를 경우 어떻게 반응할지를 관찰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다수자와 다른 의견을 가진 소수자는 다수의 의견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자신의 의견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 실험은 소수자의 영향력에 대한 사회적 영향력의 개념을 제시하는 데에 기여했습니다.
2) 실험실 내 실제 상황 모사
커트 레빈은 실험실 내에서 실제 상황을 모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행동과 상호작용을 연구했습니다. 예를 들어, 그는 "갈등 실험"을 수행하여 개인의 행동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구했습니다. 이 실험에서는 실험 대상자들에게 갈등 상황을 제시하고,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리는지를 관찰했습니다. 커트 레빈은 실험 대상자들이 갈등 상황에서 어떤 정보를 고려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하는지를 분석하여 갈등 해결에 대한 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3) 참여적 관찰 연구
커트 레빈은 참여적 관찰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탐구했습니다. 그의 연구 중 하나는 학교와 교실에서의 관찰 연구입니다. 그는 교실 내에서 교사와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 학습 환경의 동적인 특성, 학생들의 참여 정도 등을 관찰하여 교육과 학습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습니다. 이러한 관찰 연구는 교육 방법과 교실 환경의 개선에 많은 영감을 주었습니다.
커트 레빈의 실험과 참여적 관찰 연구는 현실적인 상황에서의 행동과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에 기여한 중요한 사례입니다. 그의 연구는 실험적이면서도 실제 상황을 모사하는 방법을 통해 심리학과 사회과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결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4. 참여적 관찰 연구
1) 참여적 관찰 연구란
참여적 관찰 연구는 커트 레빈(Kurt Lewin)과 그의 동료들이 개발한 연구 방법으로, 현장에서 직접 참여하고 관찰함으로써 개인과 그들이 속한 환경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연구 방법은 개인이 특정 환경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상호작용하는지를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연구의 특징
▶ 현장에서의 직접 관찰
연구자는 연구 대상의 일부가 되어 실제 상황에 직접 참여합니다. 이는 관찰자가 단순한 관찰자가 아니라 참여자가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연구자는 실제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고 상호작용을 직접 체험하며 다양한 측면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상호작용과 동적인 관점
참여적 관찰 연구는 개인과 환경 사이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강조합니다. 개인의 행동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개인의 행동 또한 환경에 영향을 줍니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개인과 환경 사이의 복잡한 관계와 변화를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 과정의 이해와 변화의 탐구
참여적 관찰 연구는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뿐만 아니라 그 과정과 변화를 이해하고 탐구합니다. 이는 개인의 행동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요소입니다.
▶ 현실적인 환경 모사
연구자는 실험실 내에서 실제 상황을 모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는 실제 상황을 재현하고 실험 대상자들이 실제 환경에서 경험하는 상황을 최대한 유사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연구 결과를 현실 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5. 변화 관리
커트 레빈은 조직이나 사회에서 변화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 심리학자입니다. 그의 접근 방식은 조직 내에서 변화를 이끄는데 도움이 되는 원칙과 개념을 제시하였습니다.
우리 주변에서는 많은 조직이 변화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새로운 시장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조직 구조를 변경하거나 학교가 교육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변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커트 레빈은 조직 내의 변화를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는 원칙을 제시하였습니다.
첫 번째로, 커트 레빈은 "언동(Unfreeze) - 변화(Change) - 고정(Refreeze)"라는 단계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언동 단계에서는 현재의 상황을 바꾸기 위해 준비를 하고, 변화 단계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방향성을 수용하며, 고정 단계에서는 변화를 안정화하여 지속 가능한 상태로 만듭니다.
두 번째로, 커트 레빈은 조직 구성원들의 참여와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조직 구성원들이 변화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협력하여 변화를 지지하고 수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세 번째로, 커트 레빈은 실험과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조직 내에서 실험적인 접근 방식과 학습 문화를 구축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구하고, 실패를 통해 배우며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커트 레빈의 접근 방식은 조직이나 사회에서 변화를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어려운 용어나 이론을 사용하지 않고, 일상적인 예시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습니다.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조직이나 개인들에게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여 변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31) 로저 브라운 (Roger Brown)(2) (0) | 2023.06.17 |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31) 로저 브라운 (Roger Brown)(1) (0) | 2023.06.16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30) 커트 레빈 (Kurt Lewin)(1) (0) | 2023.06.14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29) 리온 페스팅거 (Leon Festinger)(2) (1) | 2023.06.13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29) 리온 페스팅거 (Leon Festinger)(1) (0) | 2023.06.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