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기 실현(Self-actualization)이다. -
1. 인물소개
칼 로저스(Carl Rogers)는 인간지향적 심리치료법의 창시자 중 한 사람으로, 인간의 자아성장과 자기실현을 중요하다고 주장했으며, 자기실현주의 이론으로 유명합니다. 또한, 로저스는 심리치료에서 "고객 중심 치료법"이라는 방법론을 제안했습니다. 이 방법론의 대표적인 특징은 치료자가 고객을 대상으로 비판적 분석을 하거나 행동교정을 시도하는 대신, 고객의 내적 경험과 자아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즉, 고객이 심리 치료 과정 속에서 직접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찾도록 돕는 것입니다. 그리고 로져스는 인간의 자아성장과 자기실현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습니다. 그는 인간이 보다 큰 자아실현을 위해 필요한 조건들이 있으며, 그 조건들은 긍정적인 자아개념, 자기방어, 자기동기화, 경험의 정체성, 오픈셀프(자아)입니다. 이러한 조건들이 갖추어져야만 개인의 자아성장, 자기 실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로저스는 잘못된 것을 바로 고쳐주는 것 보다는 인간의 내적 성장과 발전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고객 중심 치료법과 자기실현 이론 등으로 심리학과 심리치료학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2. 자기실현주의 이론
1) 자기실현주의이론이란
칼 로저스는 인간의 내적 경험과 성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인간심리학자로서, 인간이 더 나은 삶을 위해 자기실현을 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로저스는 자기실현을 위해서는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서 가지고 있는 경험과 자아를 스스로 인식하고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내면에서 떠오르는 생각, 감정, 욕구 등을 솔직하게 인식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 중요합니다.
로저스는 이를 위해 대인관계에서 공감, 이해, 비판적 수용, 무조건적 긍정 등의 다양한 요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개인이 다른 사람에게서 이러한 요소들을 경험하면서 자신의 내적 성장을 통해 자기실현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 로저스의 이론입니다. 칼 로저스가 주장한 자아실현을 위한 필요조건 중 다섯 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긍정적인 자아개념(positive self-concept)
긍정적인 자아개념은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자신의 능력, 가치, 인격, 능동성 등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뜻합니다. 즉, 자신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순수하게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칼 로저스는 자아개념이 자아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믿었으며, 반대로 자아개념이 부정적이거나 비관적일 경우, 개인의 삶과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자신의 능력을 믿지 못한다면, 그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 스스로 적극적인 도전을 하기보다는 불안과 두려움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사람은 더 큰 성취를 이루기 위해 다양한 것들을 시도하고 도전하며 노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자기방어(defense mechanisms)
자기방어란, 자신이 받은 부정적인 평가나 비판적인 시선에 대해 자신을 지키기위해 스스로 방어하는 것을 말합니다. 칼 로져스는 자기방어가 자아실현을 위한 조건 중 하나로 이야기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가지고 친구들 앞에서 부르고자 권유했습니다. 하지만, 친구들 중 한 명이 "그렇게 못부르는데?"라는 말을 하며 비판적인 시선을 보였습니다. 이때 자기방어적인 반응은 "아니, 내가 잘 부를 수 있어. 네가 잘못 본 거야!" 라는 식으로 상대방에게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방어하는 것입니다. 이와 반대로 자기방어적인 반응이 부적절하다면 "나는 못 부르는구나. 그래도 더 연습해서 더 잘 부를 수 있도록 노력해야지" 라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날 수 도 있습니다.
▶ 자기동기화(self-motivation)
자기동기화란 개인이 자신의 내면에서 느끼는 욕구와 가치를 바탕으로 행동을 결정하고, 외부적인 동기보다는 내부적인 동기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이끌어 내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자기동기화가 높은 학생은 공부를 하기 위해 학년을 올리거나 좋은 성적을 받는 것보다는 스스로 배움 그 자체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며 공부를 할 것입니다. 이러한 학생은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로 학습과 발전을 높게 평가합니다.
또 다른 예시로는, 자기동기화가 높은 운동선수는 외부적인 동기, 즉 우승이나 상금보다는 자신의 꿈을 위해 몸과 건강을 관리하고 발전시키는 것에 즐거움을 느끼며 운동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운동선수는 자신의 삶에서 건강과 체력에 대한 가치를 높게 평가하며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자기동기화는 개인의 내면에서 비롯된 욕구와 가치를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자아실현과 성취감을 동시에 이룰 수 있습니다.
▶ 경험의 정체성(experiential identity)
경험의 정체성은 개인이 어떤 경험을 통해 자신의 신념, 가치, 관점 등을 형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개인의 경험과 그에 대한 해석, 해석 방식, 그리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경험 등이 모든 것이 영향을 미치며 정체성을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어릴 때 가난한 가정에서 자랐을 경우, 이는 그 사람이 성장하면서 자신의 가치관, 태도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이 그정적으로 작용한다면, 그 사람은 돈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거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태도 등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그 사람이 자신의 성격과 인격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경험의 정체성은 개인의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개인이 추구하는 자아실현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 오픈셀프(자아)(open self)
오픈셀프는 칼 로져스의 이론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로, 개인의 진정한 본성과 자아를(ego)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오픈셀프는 개인의 자기인식과 인지에 대한 솔직하고 객관적인 인식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자기를 더 잘 이해하고 자신의 감정, 생각, 욕구를 솔직하게 인정하며 받아들이는 것, 인정하는 것이 오픈셀프에 해당합니다. 이는 개인이 외부의 기대나 사회적 압력에 따라 자신을 가장한 셀프, 즉 허위의 자아나 가상의 모습을 표출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오픈셀프는 개인이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을 통해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이해하며 자아실현과 성장을 도모하는 것을 장려하는 개념입니다. 칼 로져스는 오픈셀프가 자아실현에 도달하기 위한 중요한 조건 중 하나로 주장했습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13) 바베라 프레드리크슨(1) (0) | 2023.04.29 |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12) 칼 로져스(2) (0) | 2023.04.28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11) 에릭 에릭슨(2) (0) | 2023.04.27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11) 에릭 에릭슨(1) (0) | 2023.04.27 |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10) 레비 비고츠키(2) (0) | 2023.04.26 |
댓글